대인관계 심리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모르면 내 손해! "손실회피성향(손실회피편향)" #1 미니 심리 테스트 "손실회피성향(Loss Aversion)"에 대해 설명을 드리기 전에, 여러분께 한 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일종의 미니 심리 테스트라고 생각하고 곧바로 답해보세요! 당신은 한 카지노에서 요상한 도박 게임을 하나 발견합니다. 도박의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 손해볼 것 없는 도박입니다!" "조건은 2개가 있음으로, 원하시는 조건을 선택 해 주세요!" 조건 ① 100%의 확률로 10,000원을 받는다. 조건 ② 50%의 확률로 20,000원을 받는다. 자, 이제 아무 생각 없이 좀 더 끌리는 조건을 결정 하세요! 아마 조건 ①을 선택하셨을겁니다. 확률상으로는 조건 ①, ② 모두 기대값은 10,000원으로 동일합니다. 조건 ① 10,000원 * 1.0 = 10,000원 조건 .. 더보기 사람들이 잘 모르는 "첫인상" 실수 #1 면접, 소개팅의 첫인상 가끔 면접이나 소개팅 등 사람을 처음 대면 할 때가 있죠? 오늘은 ① 첫인상 프레임, 선입견이 얼마나 강력한지 ② 사람들이 잘 간과하는 "첫 만남"의 실수와 주의점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2-1 ① 첫인상 프레임의 강력함 대인관계에 있어서 프레임(Frame)이란 무엇일까요? 사실 이 프레임이라는 단어는 요즘 많이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프레임이란, 선입견(bias)과 유사한 의미입니다. 즉, 상대방은 "이런 사람이다"라고 추측하고, 그 틀 밖을 벗어나지 않게 만들고자 하는 것이 "심리적 프레임"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A는 불친절한 사람이다" 라는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 해 봅시다. 그런데 어느 날 길을 가다가, A가 한 할머니를 도와 주.. 더보기 "인지부조화"와 "사이비 종교의 면접" #1 이해하기 어려운 인지부조화 오늘은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한 번쯤 들어보셨을 법한 개념입니다. 그런데, 사실 "인지부조화"는 이해하기가 살짝 복잡한 개념입니다. 전공자가 아닌 이상, 완벽하게 이해 하시고 계신 분은 드물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지부조화 피켓 실험"과 "사이비 종교 사례"를 통해서, 인지부조화에 대해서 철저하게 이해를 하게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2-1 인지부조화란? "피켓 실험"과 "사이비 종교 사례"에 대해 이야기 하기 전에, "인지부조화"가 무엇인지부터 설명을 드려야 하겠죠? 인지부조화를 아주 짧게 설명하자면, "자신의 행동, 태도, 신념들 간에 불일치가 있음을 인지할 때 생기는, 불.. 더보기 "인성파탄"과 "기본귀인 오류" #1 기본귀인 오류때문이야! 우리는 남이 무언가 잘못하거나 실수를 했을 때, 그 사람의 "인성" 탓을 많이 합니다. 이는 우리가 "기본귀인오류(Fundemental Attribution Error)"를 범하는 성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2-1 B가 늦은 것은 "게을러서" A와 B라는 사람들이 6시에 강남에서 만나기로 약속을 했다고 가정을 해 봅시다. A는 6시 정각에 딱 맞춰 강남에 도착했습니다. B는 일전에 집에서 강남으로 가는데 50분이 소요 되었던 기억이 났습니다. 이번에는 10분 정도 여유있게 가기 위해, 1시간 전에 집에서 강남으로 출발을 했습니다. 그런데, 예상치 못한 교통사고로 차가 막히는 바람에, 결국 약속시간에 10분 정도 늦게 되었죠. A는 B의 지각에 대해서 뭐라고 반응할까요? "야 .. 더보기 "혈액형별 성격" 믿을 수 있을까? 바넘효과(포러효과) #1 혈액형별 성격 여러분은 혈액형별 성격을 믿으시나요? 만일 혈액형별 성격을 진심으로 믿는다면, 아마 이 글을 읽는 것이 불편 할 겁니다. 엑스창 눌럽읍읍읍 이 포스팅은 "우리가 어쩌다가 혈액형별 성격을 믿게 되었는지" 에 대해서 설명하는 글이기 때문입니다. #2-1 포러효과(Forer effect), 바넘효과(Barnum effect)란 무엇인가? 포러효과를 쉽게 설명을 해 보자면 ⓐ있을법한 일, 혹은 당연한 사실을 ⓑ당신의 특징이라고 그럴싸하게 설명하면, ⓒ듣는 상대방이 그것을 정말 본인 고유의 특징이라고 믿는 현상입니다.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식의 설명인데도, 정작 그 설명을 듣는 당사자는 이 특징은, 본인 고유의 특징이라고 굳게 믿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현상의 이름은 왜 포러 효.. 더보기 "뒷담화"와 "동조효과(conformity effect)" #1 "동조 효과"와 "뒷담화"는 무슨 관계일까? 동조효과라는 심리학 용어가 생소 할지는 몰라도, 사실 살다보면 동조효과 현상은 경험 할 일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동조효과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동조효과는 뒷담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일까요? #2-1 애쉬의 동조 효과 실험 동조효과와 관련된 실험은 Solomon Asch 교수의 실험이 가장 유명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어떤 실험이었는지 이해하기가 쉬운데, 일단 Asch 교수는 참가자들을 여럿 모아 놓았습니다. 다만 "순진한 참여자(Innocent Participant_그림의 파란색 캐릭터)"를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에게는, 이 실험이 어떤 실험인지 알려주고, 미리 지령을 내렸습니다. 실제 실험에서 Asch 교수는 참여자들에게 아주 쉬운 질문을 했습니.. 더보기 "문간에 발들이기 기법"을 사용한 "사이비 종교 포교" #1 문간에 발들이기 기법 사이비 종교의 초반 포교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1 초반에는 "막무가내식의 포교"를 하기도 하고 2 중반에는 "주입식 교리 학습"을 통해 진입에 성공시킨 대상을 세뇌하기도 하고 3 후반에는 "외부 정보를 차단"함으로써 마무리 굳히기 세뇌 작업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사이비 종교의 포교법은 날이 갈수록 교묘하게 발전 해 왔는데, 그 중에는 심리학적 기법을 활용한 방법도 많습니다. 오늘은 그 중 하나인, 문간에 발들이기 기법(Foot in the door technique)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2-1 원리와 전략 문간에 발들이기 기법의 원리는 상당히 간단합니다. 쉽게 말하면 Step 1: 상대방이 허락할 만한 아주 쉬운 부탁부터 시작한다. Step 2: 차근차근 부탁의 난.. 더보기 이전 1 다음